1. 네트워크 종류


- 거리에 따라
PAN :
수미터이내의 무선 네트워크 (적외선통신, 블루투스), 컴퓨터와 PDA,PDA와 PDA와 같이 수미터 이내의 컴퓨터 간의 통신이 가능해졌다.

LAN :
소규모 지역(반경 1km 이내)의 통신기기의 상호연결 가능하게 하는 통신 네트워크, 집, 사무실,빌딩,공장등과 같이 제한된 지역에서 컴퓨터를 연결하여 쓰
는 대부분의 네트워크가 여기에 포함된다.

MAN :
도시내의 또는 도시간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대도시를 포괄하는 네트워크로 통신망의 총 거리는 수백Km에 달하여 그 용도상 고속의 통신속도를 지원한다.

WAN:
도시 범위를 벗어난 지역간의 네트워크, 지방과 지방, 국가와 국가 또는 랜과 랜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LAN에 비해 넓은 지역인 1Km이상인 지역을 대상을
의미하며 공중망으로도 불림. 지사간 데이터 통신가능.

- 전송방식에 따라.

토큰링 근거리 통신망 :
토큰링 근거리통신망(LAN) 기술은 OSI 모델의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쓰이는 근거리통신망 프로토콜이다. 1980년대 초반 IBM에 의해 개발되었고 IEEE 802.5로 표준화되었다. 당시에는 매우 성공적이었으나 1990년대 초반 이더넷이 개발되면서 잘 쓰이지 않게 되었다. IBM은 토큰링이 이더넷보다 빠르고 안정적이라는 주장을 펼쳤지만 성공적이지 못했다. 더이상 IBM은 토큰링을 사용하거나 홍보하지 않는다.

초기인 1985년의 토큰링 네트워크는 전송속도가 4Mbps였지만, 1989년에 IBM이 16Mbps의 토큰링 제품을 생산하였으며, 802.5 기준도 이를 지원하도록 확장되었다.

토큰링 네트워크는 여러 스테이션(컴퓨터)들이 하나의 링(고리)에 이어져 형성되며, 데이터는 항상 한 방향으로만 흐른다. 정확히 말하면 데이터가 한 컴퓨터에서 다음 컴퓨터로 순서대로 전달된다. 각각의 스테이션은 바로 이전의 스테이션이 전달해준 비트를 그대로 다음 스테이션에 전달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더넷:
이더넷(Ethernet)은 LAN을 위해 개발된 컴퓨터 네트워크 기술로, '이더넷'이라는 이름은 빛의 매질로 여겨졌던 에테르(ether)에서 유래되었다. 이더넷은 OSI 모델의 물리 계층에서 신호와 배선,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MAC(media access control) 패킷과 프로토콜의 형식을 정의한다. 이더넷 기술은 대부분 IEEE 802.3 규약으로 표준화되었다.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토큰 링, FDDI 등의 다른 표준을 대부분 대체했다.
 
TCP/IP:
인 터넷 프로토콜 스위트(Internet Protocol Suite)는 인터넷에서 컴퓨터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 데 쓰이는 통신규약(프로토콜)의 모음이다.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 중 TCP와 IP가 가장 많이 쓰이기 때문에 TCP/IP 프로토콜 스위트라고도 불린다.
 
2. 무선 인터넷 기술
Wi-Fi :
Wi-Fi(와이파이)는 홈 네트워킹, 휴대전화, 비디오 게임 등에 쓰이는 유명한 무선 기술의 상표 이름이다. 와이파이는 현대의 개인용 컴퓨터 운영 체제, 고급형 게임기, 프린터, 다른 주변 기기에서 지원된다.
 
HSDPA :
HSDPA는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고속하향패킷접속)의 머릿 글자를 딴 것으로, WCDMA를 확장한 고속패킷통신규격이다.

3세대 비동기식 이동통신기술 표준화 기구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가 2002년 3월 발표한 Release 5의 핵심기술인 고속데이터패킷접속규격으로 W-CDMA 표준에서 패킷 기반의 데이터 서비스를 가리킨다. 이 기술을 사용하면 W-CDMA보다 5배 이상 빠른 속도로 통신할 수 있으며 다운로드 속도는 최대 14.4Mbps이다. 기지국에 대한 별도의 투자 없이 W-CDMA 시스템을 개량하는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WiMAX :
와이맥스(WiMAX)는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의 준말로, 점대점 연결에서 완전한 휴대형 접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먼 거리를 걸쳐 무선으로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전자 통신 기술이다. WirelessMAN이라고도 불리는 IEEE 802.16 표준에 기반을 두고 있다. "와이맥스"라는 이름은 표준의 상호 운용성과 순응을 제고시키기 위해 와이맥스 포럼이 2001년 6월에 만든 것이다. 이 포럼은 와이맥스를 "케이블, DSL의 대안으로서 라스트 마일(last mile)의 무선 광역 접근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표준 기반의 기술"로 설명하고 있다.
 
WiBro :
Wibro는 Wireless Broadband Internet의 약자이다. 우리나라 말로는 휴대용 초고속 인터넷이라고 한다. 말 그대로 Wibro는 우리가 단말기를 휴대하고 이동하면서 계속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한다. Wibro는 시속 60Km 이하로 이동하면서 우리가 현재 가정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유선 ADSL 정도의 속도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3. 네트워크 장치

Repeater :
리피터(repeater, 문화어: 반복기)는 신호를 받아 더 높은 수준에 더 높은 힘으로 방해가 되는 곳의 반대 쪽으로 재전송함으로써 신호가 더 먼 거리에 다다를 수 있게 도와 주는 전자 기기이다. 중계기(中繼器)라고도 부른다.
 
허브 :
네트워크를 확장시켜 주는 장비로 LAN을 구성하는 장비로 사용된다. 여러 대의 컴퓨터가 연결되면 속도를 나누어 사용해서 속도 저하 현상이 발생한다. 내
부 테트워크에서 위치하여 네트워크가 확장될수 있도록 해주며 전선연결시 멀티탬과 같은 역할이라보면 된다. 수많은 컴퓨터간의 내부 통신 연결을 가능하게 해
주며 커넥터를 연결할 수 있는 여러개의 네트워크 포트를 가지고 있다.

Bridge :
네트워크 브리지(network bridge, 문화어: 망다리)는 OSI 모델의 데이터 링크 계층에 있는 여러 개의 네트워크 세그먼트를 연결해 준다. 레이어 2 스위치는 브리지라는 용어와 같은 뜻으로 간헐적으로 사용된다. 브리지는 물리 계층에 있는 네트워크 세그먼트를 연결해 주는 장치인 리피터, 네트워크 허브와 비슷하지만 브리지를 사용하면 단순히 주변 네트워크 세그먼트로 다시 전송한다기 보다는 특정 네트워크로부터 오는 트래픽을 관리하게 된다. 이더넷 망에서 "브리지"라는 용어는 공식적으로 IEEE 802.1D 표준을 따르는 장치를 뜻한다.
 
스위치:
네트워크를 확장시켜 주는 장비로 LAN을 구성하는 장비로 사용된다.

라우터 : LAN구간과 인터넷을 연결하는데 주로 사용되며 성능이 좋은 스위치의 일종이다. 서로 성격이 다른 네트워크 랜구간과 다른 랜구간 혹은 랜구간과 외부
인터넷간의 연결을 하기 위해 사용되며 다양한 네트워크 제어기능을 가지고 있는 고성능 스위치.

Gateway :
프로토콜 변환기의 일종으로 볼 수가 있다. LAN과 WAN을 접속하는 장치와 같이 다른 통신망을 상호 접속하는 기기를 지칭하는 경우도 있다.

4. Servers

Webserver :
웹 서버(Web Server)는 HTTP를 통해 웹 브라우저에서 요청하는 HTML 문서나 오브젝트(이미지 파일 등)을 전송해주는 서비스 프로그램을 말한다. 웹 서버 소프트웨어를 구동하는 하드웨어도 웹 서버라고 해서 혼돈하는 경우가 간혹 있다.
 
fileserver :
컴퓨팅 환경에서 파일 서버(file server)는 워크스테이션이 접근할 수 있는 컴퓨터 파일(문서, 사운드 파일, 사진, 영화, 그림, 데이터베이스 등)을 공유하고 있는 기억 공간의 위치를 제공하는 것이 주 목적을 가진 네트워크에 추가된 컴퓨터를 말한다. "서버"(server)라는 용어는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로 된 기기의 역할을 강조하며 여기서 클라이언트는 이 기억 공간을 사용하는 워크스테이션을 말한다. 파일 서버는 일반적으로 어떠한 계산도 수행하지 않으며 클라이언트의 중간에 어떠한 프로그램도 실행하지 않는다. 데이터의 빠른 저장과 워크스테이션이 중대한 계산을 제공하는 데이터 수신이 파일 서버의 주된 설계 목적이다.
 
proxy server :
프 록시 서버(proxy server)는 클라이언트가 자신을 통해서 다른 네트워크 서비스에 간접적으로 접속할 수 있게 해 주는 네트워크 서비스이다.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중계기로서 대리로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가리켜 '프록시', 그 중계 기능을 하는 것을 프록시 서버라고 부른다.

프록시 서버는 프록시 서버에 요청된 내용들을 캐시를 이용하여 저장해 둔다. 이렇게 캐시를 해 두고 난 후에, 캐시 안에 있는 정보를 요구하는 요청에 대해서는 원격 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가져올 필요가 없게 됨으로써 전송 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불필요하게 외부와의 연결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또한 외부와의 트래픽을 줄이게 됨으로써 네트워크 병목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was :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eb Application Server, 약자 WAS)는 인터넷 상에서 HTTP를 통해 사용자 컴퓨터나 장치에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해 주는 미들웨어(소프트웨어 엔진)이다.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동적 서버 콘텐츠를 수행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웹 서버와 구별이 되며, 주로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같이 수행이 된다. 한국에서는 일반적으로 "WAS" 또는 "WAS S/W"로 통칭하고 있으며 공공기관에서는 "웹 응용서버"로 사용되고, 영어권에서는 "Application Server"로 불린다.

c/s :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Client/Server System, 약칭 C/S 시스템)은 클라이언트와 서버로 나뉘는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나타낸다. 웹 시스템도 확장된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으로 분류되나, 일반적으로는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이라고 하면 웹 시스템이 나오기 이전의, 사용자 PC에는 클라이언트가 설치되어 화면을 처리하고 서버에서는 자료를 처리하는 시스템을 일컫는다.
 
DNS :
DNS(도메인 이름 서비스:Domain Name System)는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을 호스트의 네트워크 주소로 바꾸거나 그 반대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인터넷 도메인 주소 체계로서 TCP/IP의 응용에서, www.example.com과 같은 주 컴퓨터의 도메인 이름을 192.168.1.0과 같은 IP 주소로 변환하고 라우팅 정보를 제공하는 분산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다.


'Operation Syst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것 저것 Unix 명령어들  (0) 2010.11.27
VMware 설정 관련 참고 POST들.  (1) 2010.01.12
Read hat Linux (in vmware) to Windows XP FTP setting  (0) 2009.12.31
Network 용어정리 2  (2) 2009.12.22
Makefile 이해  (1) 2009.12.17

+ Recent posts